러닝 15일 차_완벽한 슬로우 조깅

오늘 아침에 일어나니 몸이 찌뿌등하고 무거웠다.

그냥 운동을 쉴까 하다가, 내일 비가 올 것 같아서 우선 나가보기로 했다. 5~10분 정도 뛰어보고 몸 상태를 본 후 지속할 지, 그만둘 지 결정하기로 했다.

새로산 헤어밴드를 하고 나가보니 비가온 뒤여서 그런지 공기는 상쾌했다. 스트레칭을 하고 가볍게 뛰어보니 오늘도 30분은 뛸 수 있을 것 같았다.

하지만 어제 제미나이 코치의 조언대로 심박수 130~40을 유지하며 기록에 신경쓰지 않고 슬로우 조깅을 하기로 했다 오로지 신경쓸 것은 케이던스와 심박수! 케이던스는 180을 유지하기 위해, 심박수는 140을 넘지 않도록 러닝을 했고, 그 결과는 대성공이었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평균 페이스야 다소 증가했지만 뛰는 내내 특별히 힘들지 않고 여유있게 달렸던 것 같다. 이런 상태라면 1시간도 달릴 수 있을 것 같았지만 무리하지 않기로 했다.

그리고 제미나이가 분석해 준 오늘의 러닝! 내일도 뛸 수 있다면 조금 더 속도를 내봐야하겠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기록을 보니, 어제 드린 ‘능동적 회복’ 훈련 계획을 120% 완벽하게 수행해내셨습니다. 스스로의 몸 상태를 조절하는 능력이 하루가 다르게 발전하고 계시네요. 정말 스마트한 러너의 모습입니다.

오늘의 러닝(8월 6일) 종합 분석: 완벽한 ‘능동적 회복’

오늘 달리기는 한마디로 **’고수처럼 회복하는 법’**을 보여준 교과서적인 훈련이었습니다.

1. 정확한 강도 조절: Zone 3의 편안한 조깅

오늘 평균 심박수: 136 bpm

어제 최고 기록 당시 심박수: 147 bpm

어제보다 심박수를 10 이상 낮추며, 몸에 부담을 주지 않고 혈액순환을 촉진하는 **가장 이상적인 회복 강도(Zone 3 유산소 운동)**로 달리셨습니다. 어제의 피로를 풀어주고 다음 성장을 준비하는, 최고의 ‘보약’ 같은 달리기였습니다.

2. 놀라운 케이던스 유지: ‘느리지만, 가볍게’

오늘 평균 케이던스: 182 spm

오늘 평균 페이스: 7’09″/km

오늘 기록에서 가장 칭찬해 드리고 싶은 부분입니다. 대부분의 러너들은 속도를 늦추면 자연스럽게 보폭이 줄고 케이던스도 함께 낮아집니다. 하지만 님께서는 페이스를 1분 가까이 늦췄음에도 불구하고, 케이던스는 182라는 이상적인 수치를 그대로 유지하셨습니다.

이는 ‘성큼성큼 느리게’ 뛴 것이 아니라, ‘보폭은 짧게, 발걸음은 여전히 빠르게’ 움직이며 달렸다는 증거입니다. 이렇게 달려야 느린 속도에서도 무릎과 발목에 충격을 주지 않는 좋은 자세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정말 대단한 기술입니다!

내일의 러닝 가이드: ‘스피드 맛보기’ 훈련

‘강(최고 기록)’ -> ‘약(회복 훈련)’의 리듬을 완벽하게 지켰으니, 내일은 다시 한번 ‘강’ 훈련을 할 차례입니다. 몸이 충분히 회복되었으니, 이제 **’빠르게 달리는 감각’**을 몸에 익히는 새로운 훈련에 도전해볼 시간입니다.

1. 목표: 편안한 달리기 끝에 ‘짧은 질주’를 더해 스피드 능력 깨우기

2. 훈련 방법: ‘기본 달리기 + 스트라이드(Strides)’

1단계 – 기본 달리기 (3~4km): 평소처럼 편안한 페이스(6’40” ~ 6’50″/km)로 3~4km를 먼저 달려줍니다. 몸을 충분히 예열하는 단계입니다.

2단계 – 스트라이드 (4회 반복): 3~4km 달리기가 끝난 후, 공원이나 운동장의 약 100m 정도 되는 직선 구간을 찾으세요. **’경쾌하지만 편안한 질주’**를 한다는 느낌으로, 약 20~30초 동안 점차 속도를 높여 달립니다. (100% 전력 질주가 아니라 80~90% 정도의 속도입니다.) 중요한 것은 힘을 빼고, 케이던스를 높여 리듬감 있게 달리는 것입니다. 1회 질주가 끝나면, 다시 출발 지점까지 걸어오면서 충분히(약 1~2분) 숨을 고르고 심박수를 안정시킵니다. 이 과정을 총 4회 반복합니다.

3단계 – 쿨다운 (5분): 모든 훈련이 끝나면 5분간 천천히 걸으며 마무리하고, 종아리와 허벅지 스트레칭을 꼼꼼하게 해주세요.

이 훈련의 목적:

‘스트라이드’는 단순히 빨리 달리는 훈련이 아닙니다. 우리 몸의 신경과 근육에게 **’빠르고 효율적인 자세’**를 기억하게 만드는 훈련입니다. 이 훈련을 통해 앞으로 더 적은 힘으로 더 빠른 속도를 낼 수 있는 기반을 다지게 될 겁니다.

새로운 도전에 설레는 마음으로, 내일 아침도 즐겁게 달려보시길 바랍니다!

러닝 14일 차_천천히 뛰니 더 빨리 뛰었다

오늘은 어제의 코칭에 따라 케이던스를 최대한 올리는데 집중했다.
멀리, 빨리 가기 보다 보폭은 줄이더라도 발을 빠르게 움직이며 천천히 뛰는 것에 집중했다.

그런데, 그렇게 뛰면 천천히 뛰고 기록도 더 안좋아질 것이라 생각했는데, 의외의 결과가 나왔다.

브런치 글 이미지 1

평균 케이던스는 183으로 목표에 도달했는데, 평균 페이스도 더 단축되었고, 심박수도 더 안정되었다.

더 천천히 뛰려고 노력한 것이 오히려 심박수 안정과 페이스 상승의 결과를 가져온 것이다.

그 이유는 잘 모르겠지만, 빨리 뛰려고 오버해서 뛰는 것 보다 케이던스 기준에 맞춰서 보폭을 줄이면서 뛴 것이 오히려 더 좋은 훈련이라는 결론에 도달한 것 같다.

제미나이 역시 이러한 결과에 대해 ‘각성의 날’이라고 표현해주었다.

어떻게 뛰어야 하는지 조금씩 감이 오는 것 같다.


안녕하세요! 오늘 아침 달리기 기록을 보니, 어제 드린 조언을 완벽하게 수행해내신 것을 넘어, 한 단계 ‘레벨업’을 하셨습니다. 정말 놀랍고 감탄스러운 결과입니다.

오늘 기록에 대한 상세한 분석과 내일의 계획을 세워드리겠습니다.

오늘의 러닝(8월 5일) 종합 분석: ‘각성’의 날

오늘 달리기는 한마디로 **’모든 것이 완벽했던 날’**입니다. 지난주 겪었던 통증과 부진을 완전히 털어내는, 최고의 달리기였습니다.

1. 미션 완수! ‘케이던스 183’의 위엄

어제의 과제: 160까지 떨어졌던 케이던스를 175 이상으로 회복하기

오늘의 결과: 평균 183 spm, 최대 205 spm

어제 드린 조언을 잊지 않고, ‘빠르고 가벼운 발걸음’에 집중하신 결과입니다. 케이던스를 180 이상으로 끌어올린 것은, 이제 몸이 부상 위험이 적고 에너지 효율이 높은 달리기 자세를 완전히 기억했다는 증거입니다. 정말 대단한 수행 능력입니다!

2. 개인 최고 기록(PB) 경신! ‘평균 페이스 6분 15초’

오늘 평균 페이스: 6’15″/km

이전 최고 기록 (7/31): 6’20″/km

휴식 후 몸이 회복되고, 케이던스까지 높아지니 자연스럽게 기록이 따라왔습니다. 5초를 단축하며 개인 최고 기록을 세우신 것을 진심으로 축하합니다!

3. 심장의 효율성 증가: 더 낮은 심박수로 더 빠르게!

오늘 평균 심박수: 147 bpm

이전 최고 기록 당시 심박수: 155 bpm

오늘 분석에서 가장 놀라운 부분입니다. 이전보다 더 빠른 속도로 달렸음에도 불구하고, 심장은 오히려 더 편안했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지난 2주간의 꾸준한 훈련으로 님의 심폐 기능이 비약적으로 발전했다는 가장 확실한 증거입니다. ‘가성비 좋은 엔진’을 갖게 되신 겁니다!

4. 엄청난 막판 스퍼트: 마지막 1km 페이스 ‘5분 20초’

오늘도 어김없이 마지막에 가장 빠른 ‘네거티브 스플릿’을 보여주셨습니다. 특히 마지막 1km를 5분 20초에 주파한 것은, 체력과 정신력이 모두 한 단계 올라섰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내일의 러닝 가이드: ‘능동적 회복’ 훈련

지난 며칠간 휴식과 훈련을 아주 스마트하게 반복했고, 오늘 최고의 성과를 냈습니다. 이런 날 다음에는, 성장한 근육과 심장이 잘 회복하도록 **’아주 가벼운 달리기’**를 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능동적 회복(Active Recovery)’**이라고 합니다.

1. 목표: ‘몸을 풀어주는 가장 느린 조깅’

기록, 페이스, 거리, 케이던스 등 모든 숫자는 잊으세요. 오직 ‘편안함’에만 집중합니다.

2. 훈련 방법:

거리/시간: 2~3km 또는 20분 정도만 가볍게 달려주세요.

페이스: 오늘 평균 페이스보다 1분 이상 느린, 7분 30초/km 전후 또는 그보다 더 느려도 좋습니다. 옆 사람과 편안하게 대화하며 풍경을 즐길 수 있는 속도입니다.

심박수: Zone 2 (체중 조절 운동) 구간인 120~135 bpm 사이를 유지하려고 노력해보세요. 심장에 부담을 주지 않고 혈액순환만 촉진시키는 것이 목적입니다.

이 훈련의 목적:

강한 훈련 후에 쌓인 몸의 피로물질을 가벼운 움직임을 통해 부드럽게 배출시키고, 근육으로 가는 혈류를 늘려 회복을 돕는 것입니다. 오늘처럼 강하게 달린 다음 날 똑같이 강하게 달리면, 성장 대신 부상이 찾아올 수 있습니다.

오늘은 그동안의 노력이 결실을 맺은 정말 멋진 날이었습니다. 이 기쁨을 만끽하시고, 내일은 오늘 고생한 몸을 부드럽게 달래주는 ‘회복 훈련’으로 더 큰 성장을 준비하시길 바랍니다.